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3.134.86.4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라이트 모드로 전환
로그인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여기를 눌러 알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Pure Black/AWC Chart Team의 레벨
(r4 편집)
이동
삭제
역사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
기울임
취소선
링크
파일
각주
틀
[[분류: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분류:단일 레벨 문서]] [[분류:LOTY 수상 레벨]] [include(틀:상위 문서, up=Pure Black)] ||<-3><table align=right><tablewidth=675><bgcolor=#fff,#000><table bordercolor=#575757,#A8A8A8><color=#000,#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50%, #808080), radial-gradient(circle at 20% 5%, #939393, transparent 3%), radial-gradient(circle at 10% 45%, #939393, transparent 5%), radial-gradient(circle at 75% 90%, #262626, transparent 7%), radial-gradient(circle at 89% 51%, #939393, transparent 4%), radial-gradient(ellipse at 50% 25%, transparent 30%, #FFFFFF 30%), linear-gradient(to bottom, #575757, #1B1B1B 50%)" dark-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50%, #808080), radial-gradient(circle at 20% 5%, #A2A2A2, transparent 3%), radial-gradient(circle at 10% 45%, #A2A2A2, transparent 5%), radial-gradient(circle at 75% 90%, #D9D9D9, transparent 7%), radial-gradient(circle at 89% 51%, #A2A2A2, transparent 4%), radial-gradient(ellipse at 50% 25%, transparent 30%, #000000 30%), linear-gradient(to bottom, #A8A8A8, #E4E4E4 50%)"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3px #000000, 0 0 6px #000000; color:#ffffff" dark-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3px #ffffff, 0 0 6px #ffffff; color:#000000" '''{{{+4 [[Pure Black|{{{#fff,#000 Pure Black}}}]]}}}'''[br]{{{+1 [[KOTDARI|{{{#fff,#000 KOTDARI}}}]], [[RoDy.cOde|{{{#fff,#000 RoDy.cOde}}}]] ,[[Spehs|{{{#fff,#000 Spehs}}}]]}}}}}}[br][include(틀:광과민성 경고)]}}} || ||<-3><bgcolor=#fff,#000><nopad> [youtube(eBQssdKOXg0,width=675,height=380)] || ||<-3><bgcolor=#fff,#000><nopad>'''{{{+1 {{{#000,#fff | 레벨 제작자}}}}}}''' || ||<bgcolor=#fff,#000><color=#000,#fff> '''합작 명의''' ||<-2>AWC Chart Team 《Colourless》 || ||<bgcolor=#fff,#000><color=#000,#fff> '''트랙''' ||<-2>[[ABorinGuy]], [[V0W4N]], [[Han_rang]], Appilia, [[PELEX]] || ||<bgcolor=#fff,#000><color=#000,#fff> '''이펙트''' ||<-2>[[niAE]], [[yldo]], [[한월]], [[Bingsu]], [[Etell]] || ||<-3><bgcolor=#fff,#000><nopad>'''{{{+1 {{{#000,#fff | 출시일}}}}}}''' || ||<-3>2024년 3월 5일 || ||<-3><bgcolor=#fff,#000><nopad>'''{{{+1 {{{#000,#fff | 레벨 정보}}}}}}''' || ||<width=30%> {{{-1 곡 길이}}}[br]'''{{{+3 2:46}}}''' ||<width=30%> {{{-1 BPM}}}[br]'''{{{+3 180 → 230}}}'''[*후반변속 230 → 215 → 205 → 200 → 190 → 178 → 184 → 190 → 196 → 202 → 208 → 214 → 220 → 226 → 232 → 238 → 244 → 250 → 256 → 225 → 210 → 195 → 180 → 170 → 160 → 140 → 130 → 130 → 115 → 100 → 80 → 40 → 90][* 최대 타일 BPM ○○○, 체감 BPM ○○○] ||<width=30%> {{{-1 타일 수}}}[br]'''{{{+3 ○○○○}}}''' || ||<-3><bgcolor=#fff,#000><nopad>'''{{{+1 {{{#000,#fff | 주요 패턴}}}}}}''' || ||<-3>[include(틀:레벨 태그,tag1=3_Pseudos,tag2=64plus_Beats,tag3=Acceleration,tag4=Deceleration,tag5=Funky_Beats,tag6=Gallop,tag7=Midspin,tag8=Pseudo,tag9=Triplet,tag10=Zips)] || ||<-3><bgcolor=#fff,#000><nopad>'''{{{+1 {{{#000,#fff | 난이도}}}}}}''' || || {{{-1 창작마당}}}[br]'''{{{+4 -}}}''' || {{{-1 ADOFAI.gg}}}[br][[파일:gg Lv 21_0.svg|width=40]] || {{{-1 TUF}}}[br][[파일:TUF Lv U2.png|width=40]] ([[파일:TUF Lc 21_0.png|width=30]]) || ||<-3><bgcolor=#fff,#000><nopad>'''{{{+1 {{{#000,#fff | 주요 링크}}}}}}''' || ||<-3>[include(틀:레벨 주요 링크,youtube=eBQssdKOXg0,space1= | ,tuf=3765)] || [clearfix] [목차] == 개요 ==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AWC 2024]]의 첫 번째 결승 타이브레이커 레벨이다. == 구간 == === 초반 (0% ~ 42%) === 처음에는 가볍게 시작하다가 4%에 3동타 이후 급발진이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레벨을 시작한다. 이는 처리 방법이 크게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2키 기반으로 넘기는 방법[* 오른손 기반 기준 22 22 23 22 23 23 22 23 23 22 23 22 22 23 22], 두 번째는 4키 기반으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오른손 기반 기준 44 45 55 54 45 45 54 04] 그 다음 4% 급발진을 넘기고 마주하는 것은 8%부터 시작되는 동타 질주다. 12%와 16%의 64비트를 조심하면 무난히 넘어올 수 있는 구간이다. 그 뒤로 잠시 쉬다가 19%부터는 충분히 죽을 수 있는 파트들이 나오기 시작한다. 25%부터는 2키 기반이나 4키 기반으로 처리해도 상당히 헷갈리고 많이 죽는 패턴이 나오기도 한다. 29%부터는 16비트 동타 질주에 30% 같은 동타까지 추가된 트릴까지 나오기 시작한다. 42%까지 버텼으면 이제 잠시 쉬어주면서 드랍을 준비하자. === 중반 (42% ~ 81%) === 쉬는 구간에 등장하는 삼각함수와 함께 쉬어주었다면, 다시 달릴 준비를 하자. 46%부터 오른손 기반 기준 12 12 43의 패턴이 4번 반복하고 그 다음 49%에선 마지막에 어떻게 끝내야할 지 감이 안 잡히는 64비트 트릴을 지나면 54%부터 드랍이 시작된다. 67%까지는 평범한 32비트 질주지만, 그 이후부턴 30도 동타가 섞인 질주도 등장한다. 드랍 질주가 끝나고 BPM이 낮아지고 81%에 있는 64비트 트릴을 지나면, 본격적으로 후살이 시작된다. === 후반 (81% ~ 100%) === 이 맵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라고 해도 무방하다. 우선, 64비트 트릴을 지난 후 178BPM으로 시작한 후살은 거의 5초에 한번씩 BPM이 변동될 정도로 BPM 변동이 심한 구간이다. 패턴 자체는 난이도가 괜찮지만, 변속이 들어가자 정말 난이도가 어려워졌다. 심지어, 마지막에 나오는 3동타 폭탄은 수많은 98%, 99% 사망의 피해자를 만들기도 한다. 물론, 3동타 폭탄 이전에서도 많이 죽는 편이다. 마지막 급감속에서도 주의하자. 여기서 죽는다면 99%의 따끈따끈한 소고기를 맛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해당 구간은 운이 너무 좋은 것이 아니면 반드시 실전에서 한 번 이상 죽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해당 구간에서의 뇌절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연습을 하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 [[Level Of The Year|LOTY]] == [[LOTY 2024]]에서 올해의 레벨상을 수상했다. == Easy 버전 == == 여담 ==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34.86.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3.134.86.4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목차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사이드바 설정
기본
숨김
하단 표시
사용자 사이드바 끄기
사용
부드러운 스크롤
사용